concept/javascript
-
Mutable vs Immutableconcept/javascript 2020. 3. 27. 00:19
Mutable method 원본 배열에 접근해서 값을 바꾼다. ex. push() let arr = [1, 2, 3, 4, 5, 6] let newArr2 = arr.push(7); console.log(newArr2); //--> 7 console.log(arr); //-->[1, 2, 3, 4, 5, 6, 7] ** arr 자체가 바뀌었다! ** Immutable method 새 배열을 만들어서 넣어줘야 한다. ex. slice() let arr = [1, 2, 3, 4, 5, 6] let newArr2 = arr.slice(2, 4); console.log(newArr2); //--> [3, 4] console.log(arr); //-->[1, 2, 3, 4, 5, 6] ** 기존 arr은 그대로!..
-
정규표현식(regular expression)concept/javascript 2020. 3. 27. 00:11
정규 표현식은 문자열에 나타는 특정 문자 조합과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패턴 (MDN) 문자열에서 특정한 문자를 찾아내는 도구. 이 도구를 이용하면 수십줄이 필요한 작업을 한 줄로 끝낼 수 있다. (생활코딩) 컴파일 : 실행을 하기 위한 패턴을 만든다. 패턴을 만드는 방법 2가지 1. 정규표현식 리터럴 var pattern = /a/; 2. 정규표현식 객체생성자 var pattern = new RegExp('a'); 두 가지 모두 같은 결과를 만들지만 각자의 장단점이 있다. 실행 : 찾은 패턴에 대해서 어떠한 작업을 구체적으로 하는 것 1.RegExp.exec() ::: 기본예제 ::: //a를 정규표현식으로 지정하고, var pattern = /a/; //abcde에서 정규표현식을 찾아라. patte..
-
문자열 메소드 (string method)concept/javascript 2020. 3. 26. 21:28
indexOf(searchvalue) return value : 처음으로 찾고자 하는 문자열 (없으면 -1 을 반환) lastIndexOf 는 문자열 뒤에서 부터 찾음 'Blue Whale'.indexOf('Blue'); //0 'Blue Whale'.indexOf('blue'); //-1 'Blue Whale'.indexOf('Whale'); //5 'Blue Whale Whale'.indexOf('Whale'); //5 --> 처음으로 일치하는 index만 찾는다. 'canal'.lastIndexOf('a'); //3 --> 문자열 뒤에서 부터 찾는다. str.split(seperator) arguments : 분리 기준이 될 문자열 return value : 분리된 문자열이 포함된 array csv..
-
객체 (Object)concept/javascript 2020. 3. 26. 09:47
* 객체는 key - value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. * 객체의 값을 사용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. 1. Dot notation obj.key 2. Bracket notation obj['key'] //-> 이 때 key에 따옴표를 안적어주게 되면 key 는 변수로 취급되어 에러를 발생시킨다! Dot notation은 키 값이 동적으로 변할 때 사용하기 어렵다. * Dot notation / Bracket notation 을 이용해 값을 추가할 수 있다. * Delete 키워드를 이용해 삭제할 수 있다. delete obj.key; * in 연산자를 통해 키의 값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. 'key' in obj;
-
배열, 반복문(for, while)concept/javascript 2020. 3. 25. 14:11
배열 배열은 순서가 있는 값 대괄호를 이용해서 배열을 만들고 element 들은 ,(comma)로 구별한다. 각 element 의 순서는 index라고 하고 0부터 시작한다. index를 벗어나면 undefined다! let alphabet = ['a', 'b', 'c', 'd']; alphabet[2]; //-> 'c' alphabet[4]; //-> **'undefined'** 반복문 배열에서 반복문은 for 구문을 활용할 수 있다. for(초기화; 조건식; 증감문){ 실행할 내용 } let sum = 1; for(let n = 2; n
-
NaNconcept/javascript 2020. 3. 25. 10:44
NaN (Not a number) 은 쓰기 불가, 읽기 불가 속성이다. 그렇기 때문에 //anything 이 NaN 인가? 를 알고 싶을 때 anything === NaN //이라고 코드를 쓰면 인식이 되지 않는다. NaN의 판별은 Number.isNaN() 또는 isNaN()을 사용하면 제일 분명하게 수행할 수 있다. (MDN) //anything이 NaN인가? 를 알고 싶다면 Number.isNaN(anything) //혹은 isNaN(anything) //으로 코드를 작성해야한다.
-
변수(variable), 조건문(Conditional statement), 함수(function)concept/javascript 2020. 3. 23. 17:00
변수 (variable) 변수 :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, 프로그래밍에서는 이름이 붙은 값 선언은 'let' (데이터를 넣을 빈 공간을 마련) 할당은 '=' 을 통해 할 수 있다. (빈 공간에 데이터를 넣기) (수학적으로는 '='가 같다라는 의미지만 프로그래밍에서는 할당하다라는 의미!) 표현식에서 이러한 변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. let pi = 3.141592 pi * 5 * 5; //반지름이 5인 원의 넓이 변수에는 다양한 타입이 있다. 1. number 2. string 3. boolean 4. undefined 5. function 조건문 (Conditional statement) 조건문은 어떤 조건을 판별하는 기준을 만드는 것 조건문에는 반드시 비교연산자가 필요하다. , ===, !==,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