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tudying coding
OKRs
오연 : Oana
2021. 7. 14. 00:21
OKRs 란?
「Objectives and Key Results」의 약자로 「목표와 성과 지표」
조직이 달성해야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전 직원이 달성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실제로 어디까지 달성되었는지 성과를 수치화하는 것이 목표 달성을 위한 프레임 워크
OKR -> 투명성 -> 팀의 경계를 뛰어 넘는 협력을 이루어 낸다.
OKR 중간점검할 때의 4가지 선택권
- 지속하기: 녹색(정상 궤도).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면 그대로 유지하자.
- 보완하기: 노랑(주의 요구). 목표나 핵심결과를 수정함으로써 업무 흐름이나 환경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. 목표를 향하도록 궤도를 수정하려면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? 일정을 수정해야 할까? 이번 프로젝트에 자원을 집중하려면 다른 프로젝트를 잠시 미뤄야 할까?
- 시작하기: 필요하다면 새로운 OKR을 중간에 시작하자.
- 중단하기: 빨강(위험). 목표가 가치를 잃었을 때 최선의 선택은 중단이다.
OKR 회고 방법
- 목표를 모두 성취했는가? 그렇다면 기여 요인은 무엇인가?
- 그렇지 않다면, 성공을 가로막은 것은 무엇인가?
- 성취한 목표를 수정해야 한다면 무엇을 바꿔야 하는가?
- 이번 교훈을 통해 다음번 OKR에서는 무엇을 바꿔야 하는가?
CFR이란? : OKR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의사소통 촉진제
- 대화(conversation): 관리자와 직원이 성과 향상을 위해 진행하는 솔직하고 다양한 의견 교환
- 피드백(feedback): 발전 상황을 확인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잡기 위해 이뤄지는 구성원들 간의 양방향, 혹은 네트워크 형태의 의사소통
- 인정(recognition): 모든 형태의 기여에 대한 인식과 보상
기업이 연간 성과 검토 시스템을 지속적 논의와 실시간 피드백으로 대체할 때, 혹은 적어도 이를 위해 노력할 때 더 많은 혁신을 꾀할 수 있다. 오늘날 조직의 일관성과 투명성은 일상 업무의 필요조건이 되었다. 직원이 어려움을 겪을 때 관리자는 예정된 실패의 순간을 기다리고 있어서만은 안 된다. 관리자는 소방관처럼 위기의 순간에 망설임 없이 현장에 뛰어들어야 한다.
OKR이 목표 근육을 만든다면 CFR은 근육을 더욱 탄력적이고 민첩하게 만든다. 그리고 동향조사는 기업의 몸과 영혼, 즉 일과 문화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게 해준다.
인정의 문화를 실행에 옮기기 위한 방법
- 동료 간 인정을 제도화하기: 직원들끼리 서로의 성과를 꾸준히 인정할 때 감사의 문화가 모습을 드러낸다. 줌 피자에서 전 직원이 참석하는 금요일 회의는 놀라운 성과를 기록한 직원에 대한 동료들의 칭찬으로 끝난다.
- 분명한 기준 마련하기: 프로젝트 완성, 기업 목표 달성, 기업 가치 실현 등 특별한 노력과 성취를 보인 업무 활동을 인정의 기준으로 삼는다. "이달의 직원"을 "이달의 성취"로 바꾸자.
- 인정 스토리 공유: 뉴스레터나 기업 블로그를 통해 성취와 관련된 숨겨진 이야기를 공개함으로써 인정을 더욱 큰 의미로 만들 수 있다.
- 더욱 쉽게, 더욱 자주 인정받도록 만들기: 마감 시한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나 제안서에서 특별히 돋보였던 내용 등 관리자가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사소한 성과도 인정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.
- 인정을 기업 목표와 전략으로 연결하기: 알맞은 시기에 인정을 함으로써 고객 서비스, 혁신, 팀워크, 비용 절감 등 조직의 당면 과제에 집중하도록 만들어야 한다.
성과관리와 보상은 분리되어야 한다.
OKR 지속적 성과관리 방법
- 무슨 일에 집중하는가?
-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는가? 개인의 OKR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?
- 방해 요인은 무엇인가?
- 목표 달성을 위해 무슨 도움이 필요한가?
- 경력 발전을 위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?
Objectives 목표 |
Key Results 핵심 결과 |
성취해야 할 대상 구체적이고 행동지향적(이상적)이고 영감으로 가득해야 한다. |
목표 달성을 위한 방안 모색, 목표 달성 여부 확인 구체적인 일정을 기반 측정과 검증이 가능 O,X 로만 판단 세모는 없다. |
1년 이상 장기간으로 이어질 수 있다. | 업무 진척에 따라 변화한다. 핵심 결과를 모두 성취했다면 목표는 당연히 이루어 져야 한다. |
목표는 '무엇'을 말한다. | 핵심결과는 '어떻게'를 말한다. |
목표는 목적지와 방향을 가리킨다. | 핵심결과는 측정 가능한 이정표다. 모든 이정표를 거쳤다면 목적지에 도달해야 한다. |
목표는 공격적이면서 현실적이다. | 핵심결과는 노력이 아니라 결과에 관한 것이다. 조언, 도움, 분석, 참여라는 용어가 보인다면 노력에 관한 설명이다. |
목표는 뚜렷하고 객관적이고 구체적이어야 한다. | 핵심결과는 이러한 노력이 최종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말한다. |
목표는 성공 가능성을 떠나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 | 핵심결과는 완성의 증거를 포함해야 한다 |
목표를 달성했다면 뚜렷한 가치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. | 증거는 접근 가능하고 객관적이며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. 그 예로 변화를 기록한 목록, 문서, 기록, 발표된 기준 보고서 등이 있다. |
리더는 무엇은 물론 왜를 이해시켜야 한다.
마이크로매니지먼트(micromanagement)는 곧 미스매니지먼트(mismanagement)다.
도전적인 목표를 세워라